[Programmers] 약수의 합
2022. 9. 21. 20:53ㆍ기록/Programmers
- 목차
문제 설명
정수 n을 입력받아 n의 약수를 모두 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.
제한 사항
- n은 0 이상 3000이하인 정수입니다.
입출력 예
n | return |
12 | 28 |
5 | 6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12의 약수는 1, 2, 3, 4, 6, 12입니다. 이를 모두 더하면 28입니다.
입출력 예 #2
- 5의 약수는 1, 5입니다. 이를 모두 더하면 6입니다.
나의 문제 풀이
function solution(n) {
var answer = 0;
let i = 0;
for (i = 1; i <= n; i++) {
if (n % i === 0) {
answer += i;
}
}
return answer;
}
약수란 어떤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를 의미한다.
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해 주어진 숫자를 1 ~ 주어진 숫자까지 나누어보고, 나머지가 0인 경우에만 결과 변수에 더해주었다.
약수의 정의를 조건식에 대입하니 바로 풀리는 문제였다.
다른 사람의 문제 풀이
function solution(n, a = 0, b = 0) {
return n <= a / 2 ? b : solution(n, a + 1, b += n % a ? 0 : a);
}
가독성이 많이 떨어지긴 하지만, 삼항연산자와 재귀함수를 사용해 코드를 최대한 줄인 신박한 코드이다.
// 파라미터가 undefined 인 경우에만 a = 0, b = 0
function solution(n, a = 0, b = 0) {
// 주어진 수의 약수를 모두 구했을 경우 리턴
if (n <= a / 2) {
return b;
} else {
// 주어진 수를 나눌 값을 증가시킴
a = a + 1;
// 나머지가 있는 경우 더하지 않음
if (n % a === 1) {
b += 0;
// 나머지가 없는 경우 약수이므로 더함
} else {
b += a;
}
// 함수 재호출
solution(n, a, b)
}
}
위의 함수를 하나씩 풀어보면 이러한 형태가 된다.
삼항연산자를 풀어서 보니, 일반 조건문이라면 if 만 써도 되는 부분이지만 else 까지 함께 나열하게 되어 코드가 길어져 버렸다.
function solution(n) {
var answer = 0;
let i;
for (i = 1; i <= Math.sqrt(n); i++){
if (!(n % i)) {
answer += (i + n / i);
}
}
i--;
return (i === n / i) ? answer - i : answer;
}
두 번째 풀이는 Math.sqrt() 함수를 이용해 주어진 수의 제곱근을 구하고
주어진 수를 1 ~ 제곱근 까지 나누어 보고, 나머지가 0인 경우 해당 약수의 짝을 합해서 더해준다.
제곱근을 이용하여 초반에는 약간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계산하는 양을 줄여주는 코드이다.
앞으로 코딩 테스트 문제를 풀면서 Math 함수를 자주 활용하게 될 것 같다.
미리 공부를 해 두어 필요할 때 마다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