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. 9. 28. 11:46ㆍ기록/Programmers
- 목차
문제 설명
양의 정수 x가 하샤드 수이려면 x의 자릿수의 합으로 x가 나누어져야 합니다.
예를 들어 18의 자릿수 합은 1+8=9이고, 18은 9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8은 하샤드 수입니다.
자연수 x를 입력받아 x가 하샤드 수인지 아닌지 검사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.
제한 조건
- x는 1 이상, 1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.
입출력 예
arr | return |
10 | true |
12 | true |
11 | false |
13 | false |
입출력 예 설명
- 입출력 예 #1
10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1입니다. 10은 1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0은 하샤드 수입니다.
- 입출력 예 #2
12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3입니다. 12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2는 하샤드 수입니다.
- 입출력 예 #3
11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2입니다. 11은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11는 하샤드 수가 아닙니다.
- 입출력 예 #4
13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4입니다. 13은 4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13은 하샤드 수가 아닙니다.
나의 문제 풀이
function solution(x) {
let answer = true;
let sum = 0;
sum = [...x.toString()].reduce((acc, cur) => parseInt(acc) + parseInt(cur));
answer = x % sum === 0 ? true : false;
return answer;
}
주어진 수를 문자열로 변환한 후 spread 연산자를 사용해 배열에 한 글자씩 담아주었다.
그 후 reduce 함수를 사용해 누적하여 리턴하고, 삼항연산자를 사용해 주어진 수가 자릿수의 합으로 나누어 떨어지는지 판별하였다.
이때 배열에는 문자열이 들어있으므로, parseInt() 를 통해 숫자로 바꾸어 계산하였다.
지난 번에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며 reduce 함수를 처음 알게 되었는데, 이렇게 적용해 보니 매우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
다른 사람의 문제 풀이
function Harshad(n){
return !(n % (n + "").split("").reduce((a, b) => +b + +a ));
}
주어진 수에 "" 를 더해서 문자로 만들고 이후에는 내가 풀이한 방식과 비슷하다.
나는 parseInt() 함수를 이용해 문자를 숫자로 변환했지만, 이 풀이에서는 단항연산자 + 를 앞에 붙여주어 숫자로 변환하였다.
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때 parseInt(), Number() 를 사용해도 되지만, 문자 앞에 + 를 붙여서 간단하게 숫자로 변환할 수 있다.
function solution(x) {
return x % eval([...x.toString()].join("+")) ? false : true;
}
join() 함수를 사용해 배열의 원소들을 "+" 문자로 구분해서 문자열로 합쳐주고
"+" 문자로 이어져 있는 문자열을 숫자로 계산하였다.
예를 들어, 주어진 수가 123 이라면 join("+") 을 통해 "1+2+3" 이 되고,
eval() 함수를 통해 1+2+3 으로 계산된다.
join() 함수로 의도적으로 연산자가 들어간 문자열을 만들어 eval() 함수로 문자열을 식으로 계산하는 것이 인상깊었다.